맨위로가기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경기 결과에 대한 문서이다. 준결승에서는 대한민국, 캐나다, 중국, 이탈리아가 결승 A조에 진출했고, 러시아, 헝가리, 일본, 네덜란드는 각 조에서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결승에서는 대한민국이 심석희 선수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캐나다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는 예선부터 결승까지 진행된 경기에서 빅토르 안(안현수)이 금메달, 우다징이 은메달, 샤를 쿠르누와이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에서는 러시아가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러시아의 빅토르 안(안현수)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경기가 진행되었고, 러시아는 남자 2인승과 4인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경기는 아델리나 소트니코바가 금메달을, 김연아가 은메달을, 카롤리나 코스트너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소트니코바의 우승에 대한 판정 공정성 논란이 있었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남자 500m 우다징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대한민국 금메달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으며 총 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이 펼쳐졌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
대회 정보
대회2014년 동계 올림픽
종목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개최국러시아
개최지소치
경기장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기간2월 10일 (준결선)
참가 선수33
참가국8
메달 획득
금메달심석희
금메달 국가KOR
은메달마리이브 드롤렛
은메달 국가CAN
동메달아리안나 폰타나
동메달 국가ITA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이전2010
다음2018

2. 경기 결과

=== 결승 A (메달 결정전) ===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심석희, 박승희, 김아랑, 조해리4:09.498
마리이브 드롤렛, 제시카 휴잇, 발레리 말테, 마리안느 생즐레4:10.641
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마르티나 발세피나, 엘레나 비비아니4:14.014
판커신, 리지안루, 리우치홍, 저우양-PEN



대한민국심석희 선수의 막판 역주에 힘입어 극적인 우승을 차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은 실격(PEN) 처리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의 저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2]

=== 결승 B (순위 결정전) ===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4올가 벨라코바, 타티야나 보로둘리나ru,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발레리야 레즈닉4:14.862
5이토 아유코, 사카이 유이, 사쿠라이 비바, 시미즈 사유리4:15.253
6로차 다라츠hu, 베르너데트 헤이둠hu, 안드레아 케츨러hu, 선드러 라이토시hu4:24.496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선수들

2. 1. 준결승

준결승 경기는 2월 10일에 열렸다.[1] 각 조 상위 2팀이 결승 A조에 진출하고, 하위 2팀은 결승 B조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11심석희, 박승희, 공상정, 조해리4:08.052QA
21마리이브 드롤렛, 제시카 휴잇, 발레리 말테, 마리안느 생즐레4:08.871QA
31올가 벨라코바, 타티야나 보로둘리나,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발레리야 레즈닉4:13.938QB
41로차 다라츠, 베르너데트 헤이둠, 안드레아 케츨러, 선드러 라이토시4:15.473QB
12판커신, 리지안루, 리우치홍, 저우양4:09.555QA
22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마르티나 발세피나, 엘레나 비비아니4:11.282QA
32이토 아유코, 사카이 유이, 사쿠라이 비바, 시미즈 사유리4:11.913QB
2요린 테르 모르스, 산네 반 케르호프, 야라 반 케르고프, 라라 반 루이벤PEN


2. 1. 1. 준결승 1조

대한민국(심석희, 박승희, 공상정, 조해리)과 캐나다(마리이브 드롤렛, 제시카 휴잇, 발레리 말테, 마리안느 생즐레)가 결승 A조에 진출했다.[1] 러시아(올가 벨라코바, 타티야나 보로둘리나,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발레리야 레즈닉)와 헝가리(로차 다라츠, 베르너데트 헤이둠, 안드레아 케츨러, 선드러 라이토시)는 결승 B조에 진출했다.[1]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1대한민국심석희, 박승희, 공상정, 조해리4:08.052QA
2캐나다마리이브 드롤렛, 제시카 휴잇, 발레리 말테, 마리안느 생즐레4:08.871QA
3러시아올가 벨라코바, 타티야나 보로둘리나,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발레리야 레즈닉4:13.938QB
4헝가리로차 다라츠, 베르너데트 헤이둠, 안드레아 케츨러, 선드러 라이토시4:15.473QB


2. 1. 2. 준결승 2조

중국(판커신, 리지안루, 리우치홍, 저우양)과 이탈리아(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마르티나 발세피나, 엘레나 비비아니)가 결승 A조에 진출했다.[1] 일본(이토 아유코, 사카이 유이, 사쿠라이 비바, 시미즈 사유리)은 결승 B조에 진출했다.[1] 네덜란드(요린 테르 모르스, 산네 반 케르호프, 야라 반 케르고프, 라라 반 루이벤)는 페널티를 받았다.[1]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1중국판커신, 리지안루, 리우치홍, 저우양4:09.555QA
2이탈리아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마르티나 발세피나, 엘레나 비비아니4:11.282QA
3일본이토 아유코, 사카이 유이, 사쿠라이 비바, 시미즈 사유리4:11.913QB
네덜란드요린 테르 모르스, 산네 반 케르호프, 야라 반 케르고프, 라라 반 루이벤PEN


2. 2. 결승

결승 경기는 2월 18일에 열렸다.[2]

2. 2. 1. 결승 B (순위 결정전)

올가 벨라코바, 타티야나 보로둘리나ru,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발레리야 레즈닉으로 구성된 러시아 대표팀이 4:14.862의 기록으로 4위를 차지했다.[1]

이토 아유코, 사카이 유이, 사쿠라이 비바, 시미즈 사유리로 구성된 일본 대표팀이 4:15.253의 기록으로 5위를 차지했다.[1]

로차 다라츠hu, 베르너데트 헤이둠hu, 안드레아 케츨러hu, 선드러 라이토시hu로 구성된 헝가리 대표팀이 4:24.496의 기록으로 6위를 차지했다.[1]

2. 2. 2. 결승 A (메달 결정전)



순위국가선수시간비고
align=left|심석희, 박승희, 김아랑, 조해리4:09.498
align=left|마리이브 드롤렛, 제시카 휴잇, 발레리 말테, 마리안느 생즐레4:10.641
align=left|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마르티나 발세피나, 엘레나 비비아니4:14.014
align=left|판커신, 리지안루, 리우치홍, 저우양-PEN



대한민국은 심석희 선수의 막판 역주에 힘입어 극적인 우승을 차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은 실격(PEN) 처리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의 저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준결선 결과 http://shorttrack.sp[...] 2018-02-10
[2] 웹사이트 결선 결과 http://shorttrack.sp[...] 201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